맥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방법은 크게 일반 종료와 강제 종료 2가지입니다. 경우에 따라 불필요하게 리소스를 잡아먹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무한로딩에 걸린 프로세스를 강제종료할 필요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맥북 애플리케이션 종료 / 강제종료 방법 1. 실행 앱 종료 실행 중인 앱을 종료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앱 왼쪽 상단에 있는 빨간색 버튼을 누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버튼을 눌러도 백그라운드에서 앱이 살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을 사용한 뒤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메모장이 종료되긴하지만 화면 하단의 Dock을 보면 동그란 표시로 백그라운드에서 앱이 종료되지 않고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럴 땐 해당 앱을 우클릭하고 ..
맥북은 QuickTime Player라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기능이나 재생 가능한 파일 형식 등의 호환성 측면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래서 많은 맥 유저들이 별도 동영상 플레이어를 다운받아 사용합니다. 그중에서도 무료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IINA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IINA 다운로드 1. iina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로 들어갑니다. https://iina.io/ IINA - The modern media player for macOS Plays anything. Powered by the open source media player mpv, IINA can play almost every media file you h..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한/영 키를 전환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한영 전환키(caps-lock)를 눌러도 전환이 바로바로 안 되는 걸 알게 됐습니다. 처음엔 제가 잘못 눌렀나 보다 했는데, 그게 아니라 그냥 가끔 맥북이 키를 씹는 것이었어요. 이게 한 두 번은 괜찮은데 지속적으로 발생하다 보니 상당한 스트레스이자 비효율이라고 느꼈습니다. 찾아보니 이미 예전부터 많은 맥 유저들이 불편해하고 있는 문제였습니다. 다행히 해결 방법은 있습니다. Karabin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물론 좀 번거롭긴 하지만 이게 효과가 아주 직빵이라 한영 전환으로 스트레스 받는 거 생각하면 무조건 하는 게 이득인 거 같습니다. 애플이 이 문제를 제대로 고쳐 주기 전까지는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래는 제가 해당 ..
기업의 IT 인프라팀에서는 정기적으로 PM 작업이라는 걸 진행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장비들을 점검하고, 업데이트하고, 서버 재기동도 하는 종합적인 유지보수인데요. 서버 관점에서 PM 작업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PM 작업 PM은 Preventive Maintenance의 약자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비 등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서버와 관련하여 PM 작업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작업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시스템 및 하드웨어 검사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는 서버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관리가 소홀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은 웹 및 API 인증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과 클라이언트가 인증을 요청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로 인해 각각 더 적합한 상황에 활용됩니다. Session 세션 기반 인증은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 서버 측에서 사용자의 세션을 관리합니다. 또 해당 세션에 대한 식별자를 사용자의 브라우저 쿠키(Cookie)로 저장합니다. 사용자가 다시 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이 쿠키는 서버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합니다. 다만 이 방식은 세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있으면 그만큼 부하가 커질 수 있습니다. 세션 기반 로그인 인증 예시) 1. 사용자가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다양한 출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합, 정리하고 그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아무래도 규모가 큰 기업은 계열사도 많고, 사내 부서 자체도 많기 때문에 여러 곳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데이터를 한 곳에 통합하여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사용합니다. Data Warehouse(DW)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DW)는 조직 내의 다양한 소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업이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통합, 저장, 관리하고 이를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주 목표입니다.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AWS, 구글 클라우드 등 유력 IT 기업들이 DW 솔루션을 판..
비밀번호를 난독화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방법이 해싱(Hashing)입니다. 해싱은 특정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고유한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해시 함수인 SHA256 등의 알고리즘이 이 작업을 수행합니다. SHA256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해시하면 결과 값은 0과 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데이터입니다. 바이너리를 DB에 그대로 저장할 수는 없습니다. 사람이 읽고 활용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결과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인코딩(encoding)이라고 합니다. 해시된 값을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주로 Hexadecimal 인코딩과 Base64 인코딩이 사용..
URL SCHEME URL scheme은 인터넷에서 자원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액세스 방법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열 패턴입니다. URL의 일부이기 때문에 평소 익숙한 웹 사이트 주소 체계와 비슷합니다.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는 생략 가능한 요소입니다.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scheme :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http, https, ftp, mailto, file 등이 있습니다. user:password@ :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일부 프로토콜에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를 제공합니다. host : 접근할 자원이 있는 서버의 주소입니다. por..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에서 여러 설정을 세팅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와 연결할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넣기도 하고, 서비스의 추가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설정 값을 지정하는 파일을 properties와 config라고 부릅니다. Properties 특성이라는 뜻을 가진 properties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래스나 객체에 대한 설정 값을 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주로 Jav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key-value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properties 형태의 파일에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서비스 URL 등 설정을 포함합니다. Properties 예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URL,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같은 설정 ..
삼성페이는 너무 편합니다. 매장 제한 없이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할 수 있고,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도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을 태그 해서 쓸 수 있습니다. 저는 삼성페이에 익숙해져서 다시 지갑으로 돌아기는 힘들 거 같습니다. 최근 신용카드 유효기간이 만료되어서 재발급 받은 카드를 삼성페이에 다시 등록했습니다. 카드 등록과 더불어 교통카드 등록과 소득공제 신청까지 한 번에 진행한 과정을 기록했으니 삼성페이 카드 등록이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삼성페이 카드 등록 방법 1. 등록할 실물 카드를 준비합니다. 2. 삼성페이 앱을 켜고 오른쪽 상단에 + 버튼을 누릅니다. 3. 추가할 항목으로 결제 카드를 선택합니다. 4. 사진으로 찍어 카드 추가를 선택합니다. 카메라가 켜지면 네모난 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