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F(Enhanced Metafile)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파일 형식입니다. 이 형식은 수학적으로 정의된 점, 선, 곡선, 도형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래서 크기를 아무리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이미지 품질이 손실되지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 픽셀 기반인 JPEG, PNG 이미지 파일과 차이가 있는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emf 형식은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다이어그램 등을 만드는데 적합합니다. 다만 MS가 개발하여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확장자이다 보니 다른 운영 체제에서는 이 형식을 지원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만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EMF 파일 EMF 파일 사용 예시 사진 편집, 그래픽 디자인 : 로고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아웃룩(Outlook)을 통해 회사 직원들에게 회의 일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회의 장소, 일정 및 시간 등과 함께 회의에 참석해 달라는 이메일 내용을 포함해서 담습니다. 아웃룩의 일정 기능을 이용하면 할 수 있습니다. 아웃룩 일정 공유 방법 1. 좌측 하단의 메일 아이콘 옆에 있는 달력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홈 탭에서 새 약속을 클릭합니다. 3. 약속 탭에서 참석자 초대를 클릭합니다. 그럼 약속 탭이 모임 탭으로 변경되고 받는 사람과 회의실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생겨납니다. 4. 받는 사람, 제목, 위치를 정하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도 설정합니다. 5. 아래의 공란에 함께 보낼 메시지 내용을 작성합니다. 6. 화면 왼쪽의 보내기를 누르면 작성한 이메일과 함께 일정이 공유됩니다. 받는..
RESTful API의 핵심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ST 규칙에 따라 요청을 보내는 것입니다. REST 규칙이 무엇인지, API가 무엇인지 이해한다면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RESTful API의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RESTful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와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정의합니다. 이는 함수 호출, 메시지 전달, 원격 프로시저 등 형태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A 시스템과 B 시스템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 API의 개념입니다. RESTful API는 API 중에서도 REST 원칙에 따라 구현된 API를 의미합니다. 접미사 ful은 어떤 특..
수정 내용 : 2023년 8월 2일부터 조용히 나가기 기능이 정식 도입됐습니다. 실험실 설정을 이용하지 않아도 그냥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에서 채팅방을 소리 소문 없이 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채팅방 조용히 나가기 기능을 업데이트 (v10.2.0) 했습니다. 지금까지 나가고 싶은 단톡방이 있어도 "000님이 대화방을 나가셨습니다."라는 문구를 남기는 게 부담스러워서 그냥 남아계셨던 분들 많으실 겁니다. 이제 덜 부담스럽게 나갈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니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단,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현재 이 기능은 실험실에서 관련 기능을 켜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냥 카카오톡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했으니 되겠지?라고 생각하고 평소처럼 채팅방을 나가면 기존처럼 대화방을 나갔다는 메시지가 출력되..
윈도우 PC에서 창을 너무 많이 띄워놓는 게 복잡하고 불편하다고 느끼시거나, 작업 형태에 따라 화면을 분리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 가상 데스크톱 기능을 활용해보시면 좋습니다. 윈도우 가상 데스크톱 윈도우 가상 데스크톱은 말 그대로 사용 중인 윈도우에 가상의 데스크톱을 하나 더 만들어 분리하는 기능입니다. 듀얼모니터 만큼은 아니지만 PC 하나로도 그것과 비슷한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키보드의 Windows 키 + Tab를 누르고, 오른쪽 상단의 새 데스크톱을 누르는 것입니다. 생성하면 이미 띄워놨던 창들이 아무것도 없는 새 데스크톱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런식으로 원하는 만큼 새로운 화면을 만들어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한쪽에선 업무 관련된 창들만 띄워놓고 다른 데스크톱에선 좀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필요에 따라 서로 통신합니다. 이때 여러 서비스들이 통신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게 서비스 메쉬 기술입니다. 서비스 메쉬는 서비스 간 통신, 장애 복구, 로드 밸런싱 등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메쉬란? 서비스 메쉬(Service Mesh)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프라 계층입니다. 인프라 계층이라는 건 애플리케이션과 하드웨어 사이에서 동작하는 모든 기술과 서비스를 가리키는 넓은 의미입니다. 서비스 메쉬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분리되어 동작하기 때문에 인프라 계층으로 보면 될 거 같습니다. 서비스 메쉬는 서비스 간의 통신, 장애 복구, 로드 밸런싱, 서비스 발견, 보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는 API 게이트웨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여러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특성상 클라이언트와의 통신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API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API 게이트웨이란? API 게이트웨이(Gateway)는 여러 API가 서로 다른 백엔드 서비스로 요청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어하는 서버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클라이언트의 통신이 서버로 들어오는 첫 번째 입구입니다. API 게이트웨이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로 라우팅 합니다. 클라이언트 요청의 인증 토큰을 확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API 게이트웨이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 상단바에 있던 삼성 헬스 걸음 수 표시가 없어졌더군요. 따로 만진 건 없었거든요. 아마 업데이트를 하면서 없어진 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삼성헬스에서 설정을 바꾸면 다시 걸음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삼성헬스 걸음 수 표시하기 1. 삼성헬스(Samsung Health) 앱에 들어갑니다. 2. 오른쪽 상단 메뉴 표시를 누르고 설정을 누릅니다. 3. 알림으로 들어갑니다. 4. 알림 허용을 활성화합니다. 5.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알림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선택합니다. 6. 걸음 수를 활성화합니다. 7. 몇 초 기다리시면 상단에 걸음 수가 다시 나타납니다.
사용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쓰는 것 같아도, 서버에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서비스를 올리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여러 개의 마이크로 서비스(micro service)들이 서로 통신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방식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라고 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인 단위로 나누어 서로 상호 작용하는 서비스로 분리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선 마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쓰는 것 같은 경험을 주지만, 소프트웨어 구조로 보면 여러 서비스가 API를 통해 통신하며 각각의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형태입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해 왔습니다. ..
기업에서 여러 솔루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편의성을 위해 메인이 되는 하나의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다른 솔루션도 로그인되도록 연동하곤 합니다. 이를 SSO(single sign on)라고 합니다. 이때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 중 하나가 SAML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 VPN, 그룹웨어, 문서 저장소 등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VPN에 로그인 시 그룹웨어와 문서 저장소에도 자동으로 로그인되는 식입니다. SAML 인증이란?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은 인증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XML 기반의 표준입니다. 주로 SSO 서비스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한 번 로그인하면 다른 서비스도 자동 로그인 되도록 해줍니다. 동작은 대략 인증 요청 → 인증 → SA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