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PM(Preventive Maintenance) 작업이란?
- IT
- 2023. 6. 11.
기업의 IT 인프라팀에서는 정기적으로 PM 작업이라는 걸 진행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장비들을 점검하고, 업데이트하고, 서버 재기동도 하는 종합적인 유지보수인데요. 서버 관점에서 PM 작업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PM 작업
PM은 Preventive Maintenance의 약자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말합니다.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비 등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서버와 관련하여 PM 작업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작업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정기적인 시스템 및 하드웨어 검사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는 서버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관리가 소홀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상태를 확인합니다. 필요에 따라 업그레이드나 교체를 진행합니다.
2. 시스템 업데이트 및 패치 적용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기능 추가, 버그 수정, 보안 취약점 패치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적시에 적용하지 않으면 시스템의 성능 저하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되도록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필요한 패치를 적용합니다.
3. 백업 및 복구 계획 수립
모든 시스템은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복구할 수 있도록 미리 백업을 준비해야 합니다. 백업 범위에는 파일 시스템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는 백업이 포함됩니다.
4. 성능 모니터링
서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 문제를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공간, 네트워크 트래픽 등 다양한 지표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지표들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그 원인을 찾고 해결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 동영상 재생 앱 IINA 추천 (단축키 커스터마이징 가능) (0) | 2023.06.13 |
---|---|
맥북 m1 한영 전환 딜레이 없애는 방법 (Karabiner) (0) | 2023.06.12 |
Session과 Token 로그인 인증 차이 (0) | 2023.06.11 |
데이터 웨어하우스(DW)란? 통합 분석 (0) | 2023.06.10 |
SHA256 해시 값을 저장하는 방식 이해하기 (0)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