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에서 호스트(host)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의미합니다. 호스트의 역할은 네트워크 안에서 리소스를 공유하고 소비하는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블로그 글을 작성하고, 구글링을 하는 제 노트북 역시 호스트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톱 등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장치는 호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장치가 호스트인 것은 아닙니다. 앞서 언급했듯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는 게 중요합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되려면 장치는 고유한 식별 값을 가져야 합니다. 그 식별값은 IP입니다. 호스트는 IP 주소를 가져야 합니다.
구글 크롬은 왜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걸까요? 이유는 크롬의 작동 방식에 있습니다. 크롬은 각 탭을 별도의 프로세스로 저장합니다. 확장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우스 제스처, 애드블록 등 역시 개별 프로세스로 간주됩니다. 페이지를 많이 띄워놓을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이런 방식은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크롬 메모리 사용량 줄이는 방법 1. 사용하지 않는 탭 종료 너무나 당연한 방법이지만, 탭을 많이 띄워 놓을수록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노트북이 뜨거워진다 싶으면 한 번쯤 확인해보면 좋습니다. 노트북에 펜 돌아가는 소리가 나기 시작하는데 딱히 작업하고 있는 게 없다면 크롬 창을 많이 띄워놓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것만 정리해줘도 메..
업무 시 아웃룩으로 메일을 주고받다 보면 수신받은 메일에 ATT00001.bin, ATT00002.bin 같은 파일이 첨부되는 경우들이 종종 있습니다. 처음엔 실제로 상대방이 보낸 파일인 줄 알고 ‘이 파일은 어떻게 쓰라는 거지?’하고 고민했습니다. 근데 그게 아니라 의도되지 않게 첨부되는 것이었습니다. ATT*.bin 파일 첨부 원인 알아보니 ATT* 파일이 첨부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쾌하게 하나의 이유만 있는 건 아닌 거 같아 보였습니다. 크게 두 가지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어쩌면 두 개가 같은 내용일지도 모르겠습니다. 1. 본문 내 텍스트와 첨부 파일이 섞여 있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를 사용하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합니다. MS 익스체인지 서버는 본문 내 텍스트가 먼저 ..
아웃룩을 통해 메일을 보낼 때 대용량 파일을 링크로 첨부할 수 있습니다. 다음(daum)의 대용량 파일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다음 대용량 메일 링크 첨부 방법 1. daum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Daum 이용자 선택권을 강화한 뉴스, 세상의 모든 정보를 연결하는 검색. Daum에서 나의 관심 콘텐츠를 즐겨보세요. www.daum.net 2. 메일함에서 내게쓰기를 선택합니다. 3. 파일을 첨부합니다. 파일 첨부하기를 클릭해서 첨부할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이때 용량이 25MB 이상이면 자동으로 대용량 메일로 전환됩니다. 만약 작은 용량 파일이라도 링크 공유를 위해서는 전환 버튼을 클릭해서 대용량으로 전환해줘야 합니다. 준비가 끝났으면 전송합니다. 4. 내게 쓴 메일함에서 링크를 복사합니다. 5...
확장자가 exe인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PC에 해당 프로그램 구동에 필요한 모듈과 실행 프로그램 등이 설치됩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설치를 완료해야 구체적으로 어떤 파일들이 설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집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특정 exe 설치 파일을 실행했을 때 어떤 파일들이 PC에 설치되는지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반디집, 알집, 7zip 등 압축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압축 프로그램은 반디집을 추천합니다. 2. 확인하려는 exe 파일을 우클릭합니다. 3. (반디집을 사용하는 경우) 반디집으로 열기를 클릭합니다. 이때 반디집은 임시 폴더(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Temp)에 압축을 풀고 사용자에게 파일을 보여줍니다. 4. exe에 포함된 파일들이 확인됩..
현업에서 일하다 보면 익스텐션(extension)이라는 용어를 종종 듣게 됩니다. 소프트웨어에서 익스텐션이란 본 제품 위에서 추가 개발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추가로 개발된 모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익스텐션 익스텐션 예시 대표적으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익스텐션)이 있습니다. 사용자는 크롬 웹 스토어에서 크롬 브라우저 위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제품을 다운받고 사용합니다. 애드 블록, 구글 번역, 마우스 제스처 등이 모두 익스텐션입니다. 네이버에서 만든 브라우저인 웨일의 경우 크롬이나 엣지와 달리 hwp 확장자인 한글 문서를 읽을 수 있는 뷰어를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네이버에서 자체 개발한 서비스긴 하지만 “한글 뷰어를 지원하는 익스텐션”이라고 이해해도 무리는 없습니다...
가상화 가상화(Virtualization)란 한마디로 “컴퓨터 안에 컴퓨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컴퓨터 안에 만들어진 컴퓨터에는 가상의 디스크, CPU, 메모리, 디스플레이, 포트 등이 구성되어 실제 물리적 리소스로 구성된 PC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상화 서비스로 오라클의 버추얼 박스, 패러랠즈 데스크톱, VMWare 워크스테이션, QEMU, MS의 버추얼 PC 등이 있습니다. VM과 VDI 모두 가상화 기술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그러나 둘은 엄연히 다릅니다. 그 차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VM VM(Virtual Machine)은 PC 내에 설치된 가상 머신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컴퓨터 안에 컴퓨터"가 바로 VM입니다. VM은 '실제 컴퓨터'의 CPU, 메모리, 저장소..
도서관이라는 뜻을 가진 라이브러리(Library)는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놓은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 모음입니다. 개발자는 만들어져 있는 코드 조각을 활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동적 라이브러리, 정적 라이브러리 차이 라이브러리는 사용 형태에 따라 동적(dynamic) 라이브러리와, 정적(static) 라이브러리로 나뉩니다. 차이를 결정하는 가장 큰 특징은 프로그램과의 연결 시점(컴파일 시 or 런타임 시)과 공유 가능 여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연결 시점과 공유 가능 여부 정적 라이브러리는 컴파일 시 응용 프로그램에 속하게 됩니다. 실행 파일에 함께 빌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만약 A 프로그램에도 abc라이브러리가 사..
리눅스에서 로그 파일을 확인할 때 tail -f 명령어가 자주 쓰입니다. cat과 달리 tail -f는 계속해서 업데이트되는 로그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해 보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윈도우에서 tail -f 사용하는 방법 윈도우에서도 로그 파일을 실시간으로 보고 싶습니다만, 메모장이나 노트패드++ 등에서는 실시간 출력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방법은 있습니다. 로그 모니터링 툴이나, 파워쉘을 사용하면 됩니다. 1. BareTail baretail은 많이 사용되는 로그 모니터링 툴입니다. 실시간 출력 및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아래의 baretail 홈페이지 링크에 들어가서 무료 버전 baretail.exe를 다운받습니다. baretail 홈페이지 2. baretail.exe는 설치가..
IT 보안에서 화이트리스트(Whitelist)와 블랙리스트(Blacklist)는 시스템에 접근해도 되는 사용자와 접근하면 안 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록입니다. 둘의 차이는 간단합니다. 화이트리스트는 허용 목록이고, 블랙리스트는 거부 목록입니다. 조직은 IT 보안을 위해 액세스 제한 방식으로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를 사용합니다. 허용 / 거부는 반드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한 대상은 특정 IP를 가진 PC가 될 수도 있지만 실행 파일, 프로세스, 웹 사이트 등이 되기도 합니다. 1. 화이트리스트 화이트리스트는 엑세스 허용 목록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접근을 막아놓고 접근 허용 대상만 따로 등록하는 방식입니다. 조직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실행 파일, 응용 프로그램, 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