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IT 솔루션 업체들은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고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기점검 시 솔루션 회사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자사 제품이 정상적 기능하고 있는지입니다. 다만 기본적인 리소스 모니터링은 중요하게 여깁니다. 대표적으로 디스크 사용량, CPU 사용량, RAM 사용량 등이 그렇습니다. 리소스 모니터링 항목 디스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확인은 정기점검 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입니다. 디스크가 모두 차면 컴퓨터는 동작을 멈추며, 이는 곧 서비스의 중단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서버에는 사용자의 로그, DB 등의 데이터가 계속 쌓이기 때문에 디스크 사용량을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합니다. 보통 80~90%가 넘어가면 디스크 증설 또는 데이터 정리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합니다. CPU..
윈도우 서버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성능 모니터(perfmon)을 통해 리소스 현황을 요약해서 볼 수 있고, 주기적으로 리포트를 자동 생성할 수 있습니다. 성능 모니터 성능 모니터는 윈도우키 + R로 실행 앱을 열어서 perfmon을 입력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성능 모니터의 구성은 크게 보면 데이터 수집기 집합과 보고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기 집합 : 데이터 수집을 사용자가 정의한 형태로 할 것인지, 시스템에서 미리 정해진 대로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 데이터를 수집한 형태(사용자 정의, 시스템)를 기준으로 생성된 보고서를 보여줍니다. 1. 간단하게 시스템 진단 보고서 만드는 방법 가장 간단하게 시스템 진단 보고서를 만드는 방법은 실행 앱에서 perfmon /rep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