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드 오라클 연결 TNS / Direct 차이
- Database
- 2023. 11. 6.
오라클 DB를 사용하는 기업에서 GUI 툴로 토드(TOAD)를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toad 역시 하이디 SQL이나 SQL Server Management Studio처럼 데이터베이스를 편리하게 관리하게 해주는 그래픽 툴입니다.
1. TNS 방식 연결
토드의 경우 오라클 세션을 연결할 때 TNS 방식과 Direct 방식이 구분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위해서는 Host, Port, Service Name이 필요합니다. TNS 방식은 이러한 접속 정보를 별칭(Alias)과 함께 미리 오라클 클라이언트의 설정 파일인 TNSNames.ora 파일에 등록하고, 토드로 오라클에 접속할 땐 별칭만 입력해서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자주 연결해서 쓰는 경우 매번 번거롭게 접속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돼서 편합니다.
2. Direct 방식 연결
Direct 방식은 Host, Port, Service Name 정보를 모두 직접 입력해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합니다. 자주 접속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접속하는 DB의 경우 다이렉트 방식으로 접속하는 게 편할 수 있습니다. 다이렉트로 접속하게 되면 토드 UI에 접속한 세션 표기가 [스키마]@[호스트]:[포트][서비스 이름] 형태로 표시됩니다.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INSERT IGNORE INTO 사용법 (1) | 2023.11.09 |
---|---|
HeidiSQL 데이터베이스를 SQL 내보내기 사용법 (0) | 2023.11.08 |
MYSQL EXPLAIN 사용법 (쿼리 성능 문제 확인) (0) | 2023.11.03 |
MariaDB Ignoring query to other database 발생 이유 (1) | 2023.11.01 |
MYSQL 사용자(user) 호스트 / 권한 개념 정리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