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쓰다보면 자주 보는 문제 중 하나가 행(hang)과 크래시(crash)입니다. 실행하고 있던 프로세스가 응답없음으로 전환되며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거나 갑자기 꺼져버리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꽤 자주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곤 합니다. 같은 의미로 인식되는 것이죠. 하지만 둘은 다르며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해야 커뮤니케이션에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행과 크래시 1. 개념 소프트웨어가 행 상태라는 것은 프로그램이 응답을 멈추고 사용자의 입력이나 다른 프로세스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런 상태가 되면 프로그램이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고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마우스 클릭이나 키보드 입력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결국 보통은 강제종료를 합니다. 크래시가 난다는 건 프로..
소프트웨어에서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들을 포장한 패키지를 의미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포장된 패키지는 그 자체로 형태를 갖추었기 때문에 어떤 플랫폼이나 환경에 가져다놔도 기존에 테스트 했던 환경과 동일한 결과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란? 컨테이너(container)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컨테이너는 전체 런타임 환경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위해선 라이브러리, 기타 바이너리, 구성 파일 등이 필요합니다. 모듈은 서로 종속성을 갖습니다. 이처럼 실행이 검증된 환경을 통째로 추상화하는 것이 컨테이너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하나의 운영체제에서도 여러 개의 애플리..
웹 페이지를 로딩할 때 서버와의 요청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개발자도구의 Network 탭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 정보는 즉시 확인도 가능하지만 har 파일로 저장하여 추후 필요 시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당장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이 없거나 정보 기록이 필요할 때 활용 가능합니다. HAR 파일이란? HAR 파일은 HTTP Archive format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로딩하는 데 있어서 어떤 네트워크 요청이 일어났는지를 기록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네트워크 요청의 시작과 끝 시간 각 요청에 대한 서버 응답 시간 HTTP 요청 및 응답 헤더 요청에 대한 HTTP 응답 코드 리다이렉트, 캐시 미스 등이 발생한 경우의 정보 크롬 개발자도구 har 파일 생성 방법..
간혹 유튜브를 사용하시다 영상의 화질을 바꿀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질 사용할 수 없음"이라는 문구가 표시되는 증상입니다. 그 이유는 영상을 오프라인 저장된 파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오프라인 저장을 자동으로 하는 설정을 해놓으시면 이 증상을 에러로 오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신경쓰이신다면 1) 오프라인 자동 저장 설정을 끄시거나 2) 오프라인 저장 시 화질을 높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스마트 오프라인 저장 1. 유튜브 앱에서 보관함 탭을 들어가고 우측 상단의 프로필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2. 스크롤을 조금 내려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3. 백그라운드 및 오프라인 저장으로 들어가서 스마트 오프라인 저장 부분을 비활성화 합니다. 스마트 오프라인 저장 기능을 활성화 하면 와이파이가 연결..
현재 쓰고 있는 PC의 인터넷 속도가 궁금하실 때 fast라는 사이트에 접속해 보세요. 접속 즉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 줍니다. UI가 상당히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따로 사용법을 익힐 필요는 없습니다.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이기 때문에 공신력도 있고요. 광고도 없습니다. 다만 업 다운로드 속도를 보고 어느 정도 빠른 건지 해석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속도 기준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fast 인터넷 속도 측정 1. 아래의 링크로 fast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fast.com/ko/ 인터넷 속도 테스트 회원님의 다운로드 속도는 얼마나 될까요? FAST.com의 간편한 인터넷 속도 테스트로 몇 초 안에 ISP 속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fast.com 2. 웹사이트에서 자동으로 ..
작년부터 유튜브 댓글에 한글 닉네임 대신 @user- 형태의 영어가 표기되기 시작했습니다. 유튜브가 핸들(handle)이라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기 때문인데요. 간단히 말하면 닉네임 대신 사용되는 고유한 아이디의 개념입니다. 댓글, 멘션, 쇼츠 등에 이런 핸들이 차츰 확장되어 표시되어 왔고 지금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것 같습니다. 기존의 닉네임 개념은 없어졌기 때문에, 영어로 만들 수 있는 아이디 개념의 핸들을 변경하여 이용해야 합니다. 유튜브 핸들명 변경 1. 유튜브를 켜고 우측 하단 보관함 탭으로 진입하여 우측 상단 내 계정을 선택합니다. 2. 내 채널로 진입합니다. 3. 내 채널에서 연필 모양의 아이콘을 누릅니다. 4.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양식이 나옵니다. 여기서 핸들 부분을 수..
미리 보고 싶은 유튜브 영상을 오프라인으로 저장해 두면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볼 수 있습니다. 비행기를 타기 전에 미리 영상을 받아두면 유용하실 거에요. 저도 여행 갈 때 이용해 봤는데 심심함을 달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평소에도 오프라인으로 다운받아두고 보시면 데이터를 아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요. 단, 이 기능은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를 대상으로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음악 오프라인 저장 동영상 저장 1. 오프라인으로 저장하려는 동영상을 켭니다. 2. 영상의 메뉴바에서 오프라인 저장을 클릭합니다. 3. 어떤 화질로 저장할지 선택합니다. 화질이 높을수록 저장되는 용량은 커집니다. 4. 유튜브 하단 메뉴의 보관함에 들어가서 오프라인 저장 동영상을 선택합니다. 5. 여기서 저장한 영상..
수정된 문서와 수정되기 전 문서 간 비교를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지만, 노트패드++를 사용하면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빠르고 정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노트패드++의 Compare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됩니다. 노트패드++ 텍스트 비교 1. 노트패드++를 실행하세요. 메뉴에서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로 들어갑니다. 2. 사용 가능 탭의 찾기 창에 compare를 찾습니다. Compare의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설치를 누릅니다. 3. 플러그인이 설치되면 바로 비교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xml 형식의 두 개의 텍스트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4. 매뉴바에서 플러그인 > Compare > Compare를 클릭합니다. 5. 비교 기능을 사용하면 현재 활성화된 탭 바로 왼쪽에 있..
프로세스 덤프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툴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작업관리자에서도 프로세스 덤프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항상 유효한 방법은 아닐 수 있지만 좀 더 간단하게 덤프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덤프 생성 1.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2. 세부 정보 탭으로 진입합니다. 3. 덤프 생성을 원하는 프로세스를 우클릭하고 덤프 파일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4. dmp 확장자로 덤프가 생성됩니다. 파일 위치 열기를 누르면 파일이 저장된 위치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작업 관리자를 통해 생성한 덤프 파일에는 메모리 상태, 레지스터 상태, 스레드 정보, 프로세스가 로드한 모듈 정보, 오류 정보 등이 담겨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AS-IS는 현재 상태, TO-BE는 미래의 목표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실 이 개념만 알고 있어도 현업에서 AS-IS, TO-BE라는 표현이 나왔을 때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그냥 현재와 미래의 개념이니까요. 조금 거창하게(?) 말하자면 AS-IS는 기업이 도달하고자 하는 미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스템, 구조 등을 표현하는 용어로, 어떤 조치를 취하기 전의 상황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반면 TO-BE는 기업이 도달하고자 하는 미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스템, 구조 등을 표현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면, 서버 이관을 하는 경우 현재 서버를 AS-IS 서버라고 부르고, 이관 후 서버를 TO-BE 서버라고 부릅니다. 다만 AS-IS, TO-BE는 IT에 국한된 용어는 아니고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