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Mapping을 선언한 메서드는 으로 받은 파라미터 값을 원하는 타입으로 선언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가 기본 타입과 래퍼 클래스라면 알아서 캐스팅(Casting) 해주기 때문이다. 단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캐스팅이 불가능한 경우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로 "abc"라는 값을 받았는데 long 타입으로 선언하면 에러가 발생하고 상태코드 400을 반환한다. Ex) jsp(view) 사원번호 연봉 인상률 : Controller @RequestMapping("/raiseEmpSal") public String updateSal(long empno, double increseRate) { // String 타입인 empno와 increseRate을 long과 double 타입으로 캐..
자바에서 변수(Variable)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어찌 보면 간단한 개념이다. 사용법 자체도 직관적이기 때문에 코딩을 처음 배우는 사람도 보자마자 이해하는 데는 별 무리가 없다. 그렇지만 변수는 '지역변수'나 '참조 변수'처럼 특수한 형태로 세분화되기도 하고,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변환(형변환)' 같은 개념도 엮여 있으며 코딩을 구성하는 매우 기본적인 단위인 만큼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의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는 여러 타입을 가지고 있는데(정수, 실수, 참과거짓 등) 하나의 변수에는 한 가지의 타입만 저장할 수 있다. 선언 변..
자바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간 표현이나 연산을 위해 데이터의 타입을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의 타입을 바꾸는 걸 형변환이라고 한다. 기본형 형변환 : int String 기본형 타입 간 형변환 중 int와 String 간의 형변환이 자주 사용된다. int -> String 자바에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데이터가 연산되면 크기가 더 작은 데이터 타입이 큰쪽의 데이터 타입으로 자동 변환된다. String(12 byte)은 int(4 byte) 보다 크다. 이런 특성을 감안해 연산자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형변환 가능하다. Ex) String s = 100 + ""; // 100은 "100"으로 변환 String -> int 이 경우 자바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Integer 클래스의 parseI..